보도자료

소관기관 소식 - 보도자료 상세보기 - 소관기관, 제목, 내용, 파일, 주소 링크 정보 제공
소관기관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생명硏-IPK, 공동 연구협력으로 결핵, 슈퍼박테리아 해법 찾는다


생명硏-IPK, 공동 연구협력으로 결핵, 슈퍼박테리아 해법 찾는다

- 17일 롯데시티호텔에서 감염병 분야 관련 세미나를 통해 결핵, 항생제 내성 슈퍼박테리아 등 다양한 감염병 분야 협력 방안 논의

- 지난 4일 체결된 감염병 연구 및 신약 개발 분야 양기관 MOU 체결 후속조치의 일환으로 실질적 연구협력 본격 추진




□ 한국생명공학연구원(원장 김장성, 이하 생명硏)과 한국파스퇴르연구소(소장 류왕식, 이하 IPK)는 12월 17일(월) 롯데시티호텔에서 감염병 분야 중 결핵, 항생제 내성 슈퍼박테리아에 초점을 맞춰 세미나를 개최한다.



o 본 세미나는 지난 4일 체결된 감염병 연구 및 신약 개발 분야 협력을 위한 MOU를 구체화하고, 항생제 내성 슈퍼박테리아와 결핵 분야 공동연구사업을 도출하기 위한 실질적 협력단계의 일환으로 추진되었다. 이번 세미나에서 양 기관은, 2019년부터 결핵 및 슈퍼박테리아와 관련한 협력사업을 추진하기로 합의하였다.



□ 현재 결핵은 전 세계 인구 3분의 1인 약 20억 명이 체내에 결핵균을 보유한 잠복감염상태로 추정되고 있으며, 약 180만 명이 결핵으로 사망하여 감염성 질환 중 독감을 포함한 호흡기 감염질환에 이어서 두 번째로 높은 사망원인이다.



o 또한 항생제 내성 슈퍼박테리아는 2014년 12월 영국에서 발간한 ‘항생제 내성 미생물에 대한 리뷰’ 에 따르면, 2050년까지 항생제 내성 확산에 따라 매년 1,000만명이 사망해, 암 사망자 820만명을 앞지를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 이러한 상황에서 양 기관은 감염병 분야의 핵심 이슈인 결핵과 항생제 내성 슈퍼박테리아에 대한 선택과 집중을 통하여, 국가?사회적 현안 해결을 위한 기술개발 수요에 부응하는 R&D 협력을 추진할 예정이다. 특히 결핵 분야의 경우에는 내년부터 공동 연구사업도 추진할 예정이다.



□ 특히, 이번 생명硏-한국파스퇴르연구소(IPK) 연구협력 세미나에서는 북한의 큰 보건문제인 다제내성 결핵과 국내 이대목동병원 신생아 원인균을 포함한 슈퍼박테리아에 대한 두 기관간 연구자 수준에서의 국가 슈퍼박테리아 해결을 위한 연구 논의가 있을 예정이다.



□ 먼저 IPK의 결핵연구 팀장 빈센트 들롬(Vincent Delome) 박사가 현재 미국 임상2상 승인을 받은 결핵 신약인 Q203의 개발을 이끈 IPK 신약개발 플랫폼을 설명하고 생명硏이 보유한 유전체와 특화된 기전연구 플랫폼과 결합하여 국내?외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는 결핵의 효과적인 솔루션 제공을 위한 연구 협력을 논의할 예정이다.



□ 두 번째로 ‘항생제 내성: 이해에서 극복까지’라는 제목으로 IPK의 장수진 박사는 기존 항생제로는 치료가 불가능하여 새로운 치료제개발이 시급히 요구된다고 WHO에서 지정한 슈퍼박테리아에 촛점을 두어 IPK에서 진행되고 있는 내성기작 및 신규 치료제 개발연구에 대해 발표할 예정이다. 여기에 답하여 생명硏 감염병연구센터의 류충민 박사가 ‘생명硏 슈퍼박테리아 연구현황과 국가 슈퍼박테리아 제어 방향’ 이라는 주제의 발표를 통하여 양기관간 연구협력 의제를 도출할 예정이다.



□ 이번 세미나와 관련하여 생명硏 김장성 원장은“우리나라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결핵 발생률과 사망률이 2015년 기준 1위(발생률 77%, 사망률 5.2%)를 차지하고 있어 결핵에 대한 R&D 연구협력은 국민의 보건 측면에서도 매우 중요한 감염병 이슈이다”고 말하며, “또한 슈퍼박테리아의 경우 현재 항생제 오·남용으로 인해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으며, 이번 세미나는 이러한 국민의 사회적 요구에 대해 양 기관이 선제적으로 대응하는 연구협력의 일환이다.”며, “향후 생명硏이 감염병 분야 관련 산·학·연·병의 실질적인 연구협력의 허브로 발전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파일
주소 링크 http://www.kribb.re.kr/sub03/sub03_01.jsp?b_idx=19830

콘텐츠 만족도 조사